본문 바로가기

다이서/IT

전기차 인프라 문제 해결사 `모바일 충전시스템` 급부상

전기차 인프라 문제 해결사 `모바일 충전시스템` 급부상

220V 콘센트에 직접 충전
이통망 연동 차량별 과금
내년 하반기 본격 상용화 



전기차 모바일 충전기 파워큐브 e-line 파워큐브 제공

완속 충전기 인프라 구축이 전기차 대중화의 걸림돌로 매번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충전기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장소에 상관없이 일반 220V 콘센트에 전기차를 직접 연결해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충전기 솔루션이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상용화될 예정이다. 중소기업 파워큐브와 전기자동차 인프라 네트워크 연구소 두 곳에서 세계 최초로 해당 기술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하고 제품 상용화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통신단말기와 전기계량기를 탑재한 전기차 모바일 충전기는 GPS 기반으로 전력선통신(PLC)뿐 아니라 상용무선망인 3G·LTE와 연동해 충전에 따른 차량별 과금이 가능하다. 일반 220V 전원 콘센트에 인식표(RFID 태그)를 붙여 자유롭게 충전하고 전력사용량에 따른 과금은 차량 소유자가 내는 방식이다. 여기에 역송전장치(V2G) 기능을 탑재해 전기차 배터리의 전기를 다시 꺼내 활용할 수도 있다.

조성규 전기차 인프라 네트워크 연구소장은 "전기차 200만대 시대를 앞두고 인프라 구축을 위해 기존 방식으로는 16조원이 필요했으나, 모바일 충전시스템은 송전부문 보강과 콘센트 확충에 필요한 1조원이면 가능하다"며 "비용 절감과 주차난 해소라는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획기적인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전기차 충전기는 별도 장소를 마련해 700만원을 들여 완속 충전기를 설치해야 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매달 기본요금 2만원이 부과되며, 이사할 경우 재설치 비용이 드는 점 등의 불편이 있었다.

반면 모바일 충전기는 별도 충전기 설치가 필요 없어 80만원 내외(예정)의 초기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쓴 만큼만 전기요금이 부과되며 이사로 인한 재설치 비용 역시 없다. 이는 또는 전기차 전용 주차난을 해소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모바일 충전기는 제품 상용화를 위해 앞으로 특허권 획득 여부와 한전과의 개인 소유 계량기 인가 문제에 대한 해결을 남겨두고 있다. 현재 서울시가 환경부, 한국전력공사와 협력해 총 100기의 전기차 모바일 충전기를 무료 보급하는 '전기차 모바일 충전서비스'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1차로 내년 4월까지 시범사업이 진행되며, 이후 8월까지 2차 사업이 예정돼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기차 모바일 충전서비스는 전기차 충전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으로 충전 편의성을 높여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길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독자적인 국내 기술력이 세계로 수출될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